아래 그림을 보게 되면 실제 사용되는 에너지 사용량과 실제로 필요한 사용량의 차이 만큼 낭비되는 에너지가 발생하므로 이것을 줄이게 되면 많은 전력비용을 줄이는 개념입니다.
네트웍기반으로 IP address를 갖고 있는 모든 IT 디바이스의 전력량을 모니터링 하고 전력 절감 정책을 적용하여 전력을 절감하는 솔루션이며, 추가적인 하드웨어나 에이전트 소프트웨어의
설치없이 네트웍을 통하여 각각의 디바이스 특성에 맞추어 전력 사용량을 최소화 시키며, 실시간으로 IT인프라의 전력 사용량과 비용을 리포팅하므로서 기업의 원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주요기능
감지측정
|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 및 시스템의 전력정보, 비용, CO2 배출량을 에이전트 없이 측정하여 정보를 수집합니다.
-
전력 사용량 시각화
- 오피스
- 데이터 센터
- 기반 시절
- 전력 및 네트워크상의 모든 장치 / 시스템의 시각화
- 에이전트 없이 네트워크 기반의 자산커넥터를 사용하여 장치 자동감지
- 소비 전력 기준 측정
- CO2 배출량 측정
|
모델링 정책설정
|
수집한 전력 정보(소비량, 비용, CO2 배출량 등) 날짜, 시간, 위치, 부서/조직 등 단위로 분석한 후 소비 전력 자동 제어 정책을 설정합니다.
-
전력의 상세 분석
- 소비 전력 / 감축
- 에너지 비용
- 각 장치의 CO2 배출량
- 비용 센터 / 조직 등
- 각종 분류마다의 대량 소비 전력 장치의 특징
- 장치 분류
- 위치
- 비용 센터 / 조직 등
|
정책실행 제어/ 절감
|
절감 정책을 실행하면 기존 네트워크 및 시스템 관리, 물리적 인프라를 이용하여 장치 또는 시스템의 소비 전력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절감 프로세스를 시작합니다.
-
정책기반 원격 자동 제어
- 시간 기반
- 이벤트 기반
- 위치 기반
- 부하 최적화(Load Adaptive Computing)
- JouleX Mobile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 Employee '옵트인' 포털
|
감시검증
|
보고서 메뉴에서 소비 전력, 전기 요금, CO2 배출량, 일자별 감소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며, 또한 전력 소비가 큰 시스템 및 효율적인 시스템의 분할 또는 특정 장치 및
설치 장소마다 사용량과 감축량의 비교를 합니다. 그 결과 추가 절감 여부 검증/분석을 실시하여 모델링/정책 설정으로 돌아와, 절약 라이프 사이클 매니지먼트가 지속 운영됩니다.
- 소비 전력 / 비용 보고서
- 절감 전력량 / 비용 보고서
- CO2 배출량 절감 보고서
- 장비별 비교 보고서
- 장치 / 시스템 보고서
- 실시간 보고서
|
적용 대상 장비
솔루션을 통하여 전력 사용량을 제어할 수 있는 벤더와 디바이스 종류는 아래와 같으며 IP Address를 갖고 있는 대다수의 장비를 모니터링 및 제어 가능합니다.
적용 가능한 디바이스
IP 주소를 갖고 있는 대상장비들은 SNMP, SSH, WinRM, WMI를 통해서 전력사용량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합니다.